글의 맥락이 중구난방으로되어있다. 접은글의 Base포스트와 함께 읽어두자.
Base.버그 / 디버그
버그 프로그램을 1. 다운시키거나 2. 원하는 결과를 내게 하지 못하는 여러가지 오류를 통칭하는 말. 종류 1. Syntax error 문법 오류.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는 지정된 문법에 따라 코드를 해석하
dot-learning.tistory.com
Base.자료형, 변수, 메모리 주소
자료형 Ptyhon에서 지원하는 자료형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서 더 다양한 자료형을 지원할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Int : 자료형의 이름은 Integer에서 유래했다. 이름의
dot-learning.tistory.com
C와 Python, Java를 불문하고 기본적으로 괄호는 문법에서 굉장히 큰 역할을 하고 있다.
Parentheses 소괄호 ()
Brackets 대괄호 []
Braces 중괄호 {}
각각의 역할은 언어에 따라 상이하다.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문법을 숙지하도록 하자.
Operating System : 운영체제
Applications :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여러가지 프로그램들.
Compiler : 고급언어로 쓰인 프로그램을 그와 의미적으로 동등하며 컴퓨터에서 즉시 실행될 수 있는 형태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바꾸어 주는 번역 프로그램. 모든 프로세서들은 기계어로 번역된 명령어만 수행할 수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대부분 고급언어로써, 기계어로 번역되어야만 컴퓨터에 올바르게 명령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을 Compiler라고 한다. OS의 구조에 따라 Compiler가 번역하여 전달하는 명령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는 OS의 환경을 고려하여 프로그래밍해야한다.
Applications의 작동은 단순하지 않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의 통신을 개발자들은 일일히 코딩할 수 없다. 하드웨어의 종류가 굉장히 다양하고, 입출력 표준 역시 제품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Operating System 즉 OS로 불리는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머들은 단순히 OS와의 상호작용을 생각하면 된다.
Interpreter : 코드를 뭉텅이로 해석하고 기계어로 번역하는 Compiler와는 다르게 코드를 한줄 씩 해석하는 Compiler로 이해할 수 있다. Python의 경우 이 Interpreter가 여러 OS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코드가 작동하도록 번역하기 때문에, OS환경을 따져가며 코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OS의 종류 역시 다양하다. 개발자들은 이전까지 변화되는 OS환경에 따라 그에 맞는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해야 했다. 하지만 OS와 애플리케이션의 작업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개발 비용 역시 커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ython은 Interpreter의 개념을 적용했다.
OS와 언어 사이의 중재자 역할로 Interpreter을 적용하여 개발자들은 이제 어느 환경에서 실행되든 상관없이 Python문법만 숙지하고서 모든 환경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종합개발환경 : VS로 대표된다.
Code editor 코드편집기 : VSC로 대표된다.
*IDE와 Code editor의 차이점은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
1. VSC의 여러 기능들 + 확장기능 python 설치
더보기 ※서비스 배포 및 관리의 목적으로 깃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다. 깃을 조금 더 수월하게 공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배울 것이기에 이 카테고리의 깃 포스트들은 깊이가 매우 얕을 것
dot-learning.tistory.com
'Development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e.자료형, 변수, 메모리 주소 (0) | 2021.09.29 |
---|---|
Base.버그 / 디버그 (0) | 2021.09.08 |